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삼강오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강오륜이란?
삼강오륜은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다섯 가지의 도리를 의미합니다. 한자어로는 '三綱五倫'으로 쓰고요. '석 삼, 벼리 강, 다섯 오, 인륜 륜'의 한자를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세 가지의 강과 다섯가지의 륜을 한 번 살펴볼까요.
군위신강
군위신강은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의 의미입니다. 옛 유교적 전통에는 임금은 신이자 절대권력이기 때문에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 제 1의 근본임을 알려주는 강령입니다.
부위자강
다음 삼강 중 하나는 바로 '부위자강'입니다. 부위자강은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의미입니다. 신하가 임금을 섬기듯 아들은 아버지를 섬겨야 한다는 것인데요. 두 의미를 섞어보면 아들은 아버지를 임금과 같이 섬겨야 한다는 뜻도 되겠네요.
부위부강
마지막으로 삼강 중 하나는 바로 '부위부강'입니다. 부위부강은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입니다. 옛 유교적인 전통에서는 남성 중심의 사회적 분위기가 강했죠.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세 가지 강령 중 하나로 가르쳤네요.
부자유친
이제 오륜을 하나씩 살펴볼까요. 오륜의 첫 번째는 부자유친입니다. 부자유친은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입니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관계를 강조한 윤리입니다.
군신유의
다음 오륜은 군신유의입니다. 군신유의는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입니다. 하지만 유교의 오륜과는 달리 임금과 신하 사이에서의 불신과 살생이 난무했던 역사가 안타깝네요.
부부유별
다음 오륜은 부부유별입니다. 부부유별은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입니다. 남편과 아내 사이의 각자의 도리를 서로 인정하라는 가르침입니다.
장유유서
다음 오륜은 장유유서입니다. 장유유서는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입니다. 장유유서의 전통은 우리나라의 현대사회에서도 비교적 온전히 유지되고 있는 유교적 가르침인데요.
박경리의 <토지>의 예문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가장 연소한데 아까도 그랬었지만 당돌하고 장유유서를 무시한 언동이다.'
붕우유신
마지막 오륜은 붕우유신입니다. 붕우유신은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입니다. 친구 사이의 도리에 대한 신뢰를 강조한 가르침입니다.
지금까지 삼강오륜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오늘날의 현대사회와 잘 드러맞는 가르침도, 맞지 않는 가르침도 있지만 한 번씩 온고지신의 태도로 되돌아볼 필요도 있을 거 같네요.
다음에도 재미있는 포스팅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2022.09.13 - [국어연구소] - 시불가실 뜻, 의미, 사례 정리
시불가실 뜻, 의미, 사례 정리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시불가실의 뜻과 의미, 그리고 사례까지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시불가실이란? 시불가실은 '때는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때
happy-diaj.tistory.com
2022.08.30 - [국어연구소] - 마지기 뜻, 의미, 단위, 크기, 면적 정리
마지기 뜻, 의미, 단위, 크기, 면적 정리
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마지기의 뜻과 의미, 그리고 그 크기와 면적은 어느정도나 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기란? 한 마지기, 두 마지기 등으로 밭이나 논 등을 세는
happy-diaj.tistory.com
'국어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르소나 뜻, 의미, 특징, 영화 정리(#칼 구스타프 융) (0) | 2022.10.06 |
---|---|
오마주 뜻, 의미, 예시 정리(#패러디 #영화) (1) | 2022.10.06 |
바보 뜻, 의미, 어원, 속담 정리 (0) | 2022.10.01 |
목불인견 뜻, 의미, 유래 정리(#목불인시 #목불인도) (0) | 2022.09.29 |
걸맞는 걸맞은 맞춤법 바로 알기 (2) | 2022.09.2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