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최근 뜨겁게 떠오르고 있는 이슈죠. 원숭이두창의 원인, 감염경로, 증상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포스팅입니다!
원숭이두창
원숭이두창은 "Monkeypox"로 표기하는 질병인데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예전에 악명을 떨쳤던 전염병인 천연두가 "인간 두창"으로 불렸다고 하는데요. 원숭이두창은 천연두와 유사한 바이러스이지만 전염성이나 중증도가 낮은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숭이두창의 유래
원숭이두창은 1958년 덴마크의 한 연구실에서 사육되던 필리핀원숭이에게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감염된 원숭이가 천연두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면서 원숭이두창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합니다.
원숭이두창이 사람을 처음 감염 시킨 건 1970년이라고 하는데요.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인근 지역에서 감염이 이저미녀서 현재는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으로 자리잡았다네요.
감염경로
원숭이두창은 사람의 피부, 호흡기, 점막을 통해서 체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이나 물건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하며, 사람 간에는 병변, 체액, 호흡기 비말, 침구와 같은 오염된 물질과의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합니다.
증상
원숭이두창의 증상은 발열, 두통, 근육통, 오통, 림프절 비대, 오한, 허약감 등으로 시작된다고 하는데요. 이러한 증상이 시작된 후 1~3일 뒤 얼굴을 중심으로 발진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 뒤 점점 몸의 다른 부위로 발진이 확산되는데요. 발진의 이미지는 다른 사이트에 많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마음 편히 포스팅 보시라고 일부러 사진은 넣지 않았습니다.)
발진의 경우 수포나 농포 등으로 진행된다고 하는데요. 특히나 손에서 수포성 발진과 함께 심한 가려움이 동반된다고 합니다. 잠복기는 6~13일 정도이며, 증상은 2~4주간이나 지속된다고 하네요.
치명률
원숭이두창은 코로나19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자연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보통은 의료 환경이 낙후되어 있는 아프리카에서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치사율이 최대 10%까지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WHO에 따르면 원숭이두창의 치명률을 3~6%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천연두 백신이 원숭이두창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약 85% 정도 예방 효과가 있다고 하네요. 감염을 막기 위해서 원숭이두창 발생 지역의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감염된 환자의 경우 격리 조치를 해야합니다.
최근 발생 상황 및 국내 유입 가능성
최근 이 원숭이두창이 뜨거운 이슈로 떠올랐는데요. 세계 각국에서 발병 사례가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원숭이두창은 2022년 5월 이후 아프리카 이외 지역인 유럽과 북미에서 이례적으로 환자가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확진 국가를 보면 미국, 영국, 스웨덴,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캐나다, 호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2022년 5월 13일~21일 오후 1시까지 WHO에 보고된 원숭이두창 발병 사례 통계를 보면 확진 건수가 92건에 달하고, 의심 사례도 28건이나 되는데요. 특히 영국, 스페인, 포르투갈에서는 20건이 넘는 확진 사례를 보이면서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행히 아직 우리나라에는 유입이 안 된 걸로 보고되고 있는데요. 우리 질병관리청은 2022년 5월 22일 '원숭이두창 진단검사법 및 시약'의 개발과 평가를 이미 완료했기 때문에 국내에 유입하더라도 신속하게 환자를 감별하고 유행을 차단할 수 있다고 밝혔는데요.
원숭이두창의 경우 확진 시 수포 등으로 인해 외모에까지 심각한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유행할 경우 충격과 공포가 코로나19보다 더 심할 수도 있습니다. 하루빨리 원숭이두창 공포가 현실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감사합니다!
'일상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기 잘 물리는 사람 특징, 혈액형 정리 (0) | 2022.06.07 |
---|---|
지방선거 투표하는 법,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투표 방법 정리 (0) | 2022.05.30 |
고혈압에 좋은 음식 best 5,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편 (0) | 2022.05.25 |
코로나 재유행,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 정리 (1) | 2022.05.25 |
기후변화와 코로나19, 바이러스와의 공존의 시대 (0) | 2022.05.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