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다이아J입니다. 오늘은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란?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경제 용어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최근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서 경기 침체의 징조라고 해석하기도 하는데요. 도대체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이 무엇인지, 이 현상이 발생한 것이 경제에서 무슨 의미를 갖는 한 번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금리는 쉽게 말하면 원금에 대한 이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에서 언급되는 '금리'는 바로 미국 국채의 단기 금리와 장기 금리를 의미하는데요. 미국은 세계 최강대국이자 금융 강국입니다. 국채는 국가에서 발행한 채권인데요. 즉, 국가가 보증을 서고 신용을 담보하는 채권으로 가장 안전한 금융 자산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채는 그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 미리 담보한 금리를 제공하고 약속을 이행합니다. 그러므로 채권 시장에서도 가장 안전한 자산은 역시 미국 국채를 꼽을 수 있습니다. 미국은 앞으로도 세계 최강대국일 확률이 높고 미래를 담보할 수 없더라도 지금으로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망하지 않을 나라 하나를 꼽으면 바로 미국이니까요.
자, 금리로 돌아와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에서 말하는 금리는 미국의 국채 금리라는 사실은 이해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미국 국채에도 단기 국채가 있고, 장기 국채가 있습니다. 기간의 비밀은 바로 만기에 있는데요. 보통 단기 국채는 2년 만기 채권이고, 장기 국채는 10년 만기 채권을 의미합니다.
2년 만기의 단기 국채는 약속된 2년이 지나면 정해진 이자를 지급합니다. 당연히 10년 만기의 국채는 10년이 지나야 정해진 이자를 지급해주겠죠
보통은 장기 국채의 금리가 단기 국채의 금리보다 더 높습니다. 우리가 은행에서 적금을 부을 때도 마찬가지죠. 1년 만기 상품보다 3년 만기 상품의 금리가 더 높은 경우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은행 입장에서는 더 긴 기간을 투자하는 투자자에게 조금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게 됩니다. 이런 원리가 채권 시장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가끔은 채권 시장에서는 이러한 원리가 통하지 않는 시기가 있는데요. 바로 지금과 같은 시기입니다. 이럴 때 바로 나타나는 현상이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입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의 의미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만기가 짧은 채권의 금리가 만기가 긴 채권의 금리보다 높아지는 현상인데요.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 걸까요.
앞서 장단기 금리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단기 금리는 미국 국채 2년물, 장기 금리는 미국 국채 10년물을 기준으로 한다고 말씀드렸죠. 10년물 채권은 경기 전망에 따라서 움직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고 예측된다고 해볼까요. 경기가 좋아진다면 당연히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의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기업의 이익도 늘게 되고,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면 기업의 주가 또한 상승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이러한 시기에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의 수요가 급증하게 됩니다.
반면 채권은 안전자산에 속하는데요. 높은 기대 수익률 대신 안정성을 추구하는 자산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앞서 언급한 것처럼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측하면 주식에 대한 수요가 느는 대신에 채권에 대한 수요는 떨어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경기가 앞으로 나빠질 것이라고 예측되면 어떨까요. 경기가 나빠지면 기업의 이익이 줄고 주가 역시 떨어집니다. 불황이 찾아오는 것이죠. 그럼 앞서와는 반대로 주식에 대한 수요는 줄고 채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서 채권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채권 수요가 늘어나게 되면 채권에 대한 리워드 격인 금리는 낮아지게 되겠죠. 금리가 낮아도 사람들의 수요는 많으니까요.
따라서 경기에 대한 비관론이 우세하면 장기 국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해서 일시적으로 단기 국채보다 금리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의 발생, 앞으로의 경제 전망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정말 심각 수준입니다. 미국의 6월 CPI 지수만 보더라도 9%를 넘어서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물가 수준 또한 장난이 아닌 상황이고요. 우리나라도 기준 금리를 처음으로 빅스텝을 밟으며, 0.5%를 한꺼번에 인상했습니다.
미국의 GDP 또한 2분기 연속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미 경기 침체 국면에 들어선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번의 경기 침체는 그 양상이 조금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형적인 경기 침체는 수요의 위축으로 소비가 줄고 그에 따라 공급이 줄어들며 경기가 쪼그라드는 국면이 발생하는데요. 이번에 발생한 경기 침체의 신호들은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공급망 훼손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실제로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높은 수준이지만 이미 에너지 등을 제외한 소비자물가지수인 근원 CPI는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고요. 미국의 고용률, 실업률 또한 좋은 지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완벽한 고용 상태인 불황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따라서 글로벌 매크로 환경이 조금만 개선되어도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는 조금씩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미 미국의 S&P 500이나 나스닥, 우리나라의 코스피, 코스닥의 주가지수도 바닥을 다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코로나19 이후 투자하신 분들은 주식의 단맛과 쓴맛을 동시에 경험하셨을 텐데요. 주식은 시간과의 싸움입니다. 힘든 시간을 버티고 인내하며 끝까지 좋은 기업에 투자하시는 분들이 그 열매를 따먹을 수 있습니다. 좋은 종목에 투자하셨다면 힘들고 어려운 시기지만 부디 잘 버텨내시기를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금융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센서스 뜻, 주식에서 '컨센서스'의 의미 (0) | 2022.08.10 |
---|---|
인디언 기우제 뜻, 주식에서 인디언 기우제식 투자란? (0) | 2022.07.26 |
닥터 둠 뜻, 의미, 유래, 인물 정리(경제, 주가 지수 전망) (0) | 2022.07.17 |
분식회계 뜻, 의미, 유형 정리(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사례) (0) | 2022.07.12 |
주휴수당 조건, 계산법, 지급기준 정리 (0) | 2022.07.01 |
댓글 영역